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의 통상정책의 영향으로 뉴욕 증시가 멕시코 페소화와 연동돼 움직이고 있다.
다우존스지수는 6일(현지시간) 전일 대비 181.09포인트(0.71%) 상승한 2만5720.66포인트에 거래를 마쳤다. S&P500 지수는 17.34포인트(0.61%) 오른 2843.49포인트로 마감됐고, 나스닥지수는 40.08포인트(0.53%) 상승한 7615.55를 기록했다.
블룸버그는 트럼프 정부가 멕시코산 수입품에 5%의 관세를 부과하는 조치의 시행을 늦추는 쪽에 무게를 두고 있다고 보도했다. 일단 시행을 10월로 늦추고 멕시코 정부가 중남미로부터 유입되는 불법 이민자를 차단하라는 미국의 요구에 상응하는 조치를 할지 지켜보며 시행 여부를 결정한다는 얘기다.
올가 산체스 멕시코 내무장관도 멕시코를 경유해 미국으로 이동하는 중남미 불법 이민자들을 막기 위해 남부 국경지대 경비를 강화하겠다고 밝혔다.
이런 소식이 전해진 후 페소화가 상승하고 뉴욕 증시도 강세를 보이는 지난주와 같은 패턴이 나타났다.

미국의 통상정책은 미국 경제에 상당한 영향에 미치고 미국의 일방주의에 대한 주변국의 분노를 고착화할 가능성이 있다.
많은 투자자의 관심이 현재 트럼프 대통령에 쏠려있다. 자유무역주의자인 케빈 하세트 백악관 경제고문위원회 대표의 사임은 불길한 징조다. 그는 자신의 사임이 멕시코산 수입품에 대한 관세 부과와 무관하다고 밝혔다.
트럼프 행정부 내의 또 다른 자유무역주의자 래리 커들로우 국가경제위원회 위원장도 보이지 않는다. 멕시코산 제품에 대한 관세 부과를 주도했던 매파 스티브 밀러와 피터 나바로가 자주 눈에 띄는 것과 대조적이다. 트럼프 대통령 보좌진의 이메일 계정에는 트럼프 대통령의 통상정에 대한 우려가 담긴 재계 리더들의 메일이 쌓이고 보이스메일 메시지도 봇물을 이루고 있다.
트럼프 대통령은 중국산 수입품에 대한 관세 부과가 미국 경제에 도움이 될 것이라고 확신하는 듯하다. 하지만 지표를 보면 반대의 현상이 나타나고 있다. 수십만개에 달하는 미국 기업의 급여 지급을 추적하는 ADP(Automatic Data Processing and Paychex) 데이터를 보면 미국의 고용은 현저하게 둔화하고 있다.

ADP 보고서에 따르면 5월 중 고용은 2만7000명 증가에 그치면서 2010년 이후 가장 낮은 증가 폭을 기록했다. 소상공인 고용은 5만2000명이 줄었다. 고용 감소는 주로 제조업과 건설업, 광업 분야에서 나타났다. 미국 제조업 보호를 위해 관세를 부과했으나, 제조업이 가장 큰 타격을 입고 있다. 구매관리자 지수와 연방준비제도의 산업생산지수, 고용지표 등 모든 지표에서 이런 현상이 나타나고 있다.
소규모 미국 제조업체의 중국 부품 의존도가 높아지는 가운데 관세 부과에 따른 가격 상승이 이들을 위협하고 있다. 기업들이 무역전쟁에 따른 불확실성 때문에 투자를 미루고 있는 것도 문제다. 중국에 생산 기지를 둔 다수의 미국 기업들이 멕시코를 대체 국으로 고려하고 있는데 멕시코산 수입품에 대한 트럼프 행정부의 관세 폭탄이 이들을 또 한 번 곤혹스럽게 만들었다.
7일 발표되는 미국 노동통계국의 고용지표가 ADP 보고서와 같은 결과를 보여줄지 확실치 않다. ADP 보고서의 고용 감소는 종업원 50인 미만의 소규모 기업들에 발생했다. ADP 보고서에서 대규모 기업의 경우 심각한 고용 감소는 없었다.
언젠가 백악관은 미국의 경기 둔화를 명확하게 인식하게 될 것이다. 트럼프 대통령은 선거를 염두에 두고 정책을 수정할 전망이다. 문제는 정책 전환의 시점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