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란혁명수비대 (사진: AFP)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은 19일(현지시간) 트위터를 통해 이란에 경고를 보냈다. “이란이 전쟁을 원한다면, 이란의 마지막이 될 것”이라는 섬뜩한 내용이었다.

이런 경고가 나오기 1개월 전 미국은 이란 혁명수비대를 테러리스트로 지정했고 2주 전에는 항공모함 전단을 걸프만으로 파견했다.

이후 이 지역의 긴장이 다소 완화되고 있으나 이란에 대한 트럼프 대통령의 반감은 가시지 않고 있다. 어떤 비용을 치러도 이란의 힘을 빼놓고 말겠다는 단호한 태도다.

지난해 5월 트럼프 대통령은 유엔 안전보장이사회가 추인한 이란 핵협정을 파기했다. 논란이 됐던 트럼프 대통령의 이런 결정은 그의 대이란 전략의 일각에 불과했다.

미국이 테러리스트로 지정한 이란 혁명수비대는 지난 1979년 이란 혁명 후 창설된 최정예 부대다. 혁명 이전 팔레비 왕조의 군사조직을 이어받은 정규군과 달리 혁명수비대는 혁명 후 당시 최고 권력기관이었던 이슬람최고혁명위원회에 의해 이슬람 공화국을 외세의 침략과 반혁명 운동으로부터 보호한다는 명목으로 창설됐다.

이란 혁명수비대는 15만명 이상의 병력을 보유한 것으로 추정되며 약 9만명의 인원을 소유한 준군사조직 바시지(Basij militia)까지 거느리고 있다. 이란혁명수비대의 해외 작전을 담당하는 쿠드스군(Duds Force)은 시리아와 이라크, 레바논에서 동맹군을 지원하는 역할을 맡고 있다.

이란혁명수비대는 레바논의 헤즈볼라와 팔레스타인 가자지구의 하마스 지원 세력으로 지목돼 왔으나, 미국 정부가 혁명수비대를 테러 집단으로 지정한 것은 이번이 처음이다.

혁명수비대는 동맹 집단에 자금과 무기, 기술, 훈련, 자문을 지원할뿐 아니라 이란의 탄도미사일 프로그램도 관할하고 있다. 걸프만과 인도양을 연결하는 호르무즈 해협 경비도 맡고 있다. 호르무즈 해협은 세계 원유 수송량의 20%를 차지하는 요충지다.

일부 학자들은 이란혁명수비대의 역할을 이란의 정치, 사회, 경제적 영역에 걸쳐 영향력을 행사하는 미국의 “군산복합체”와 유사하게 보고 있다. 다른 점은 혁명수비대가 이념적 근거를 옹호한다는 점이다. 혁명수비대는 이란의 주요 건설업체를 소유하고 대규모 개발 사업도 수행하고 있다. 주로 이란의 석유산업과 관련된 개발 사업이다. 다른 나라에서 개발 사업을 수행하기도 한다.

이란 경제에서 혁명수비대의 역할은 이란 핵협정 체결 후 위축됐다. 제재가 풀리면서 이란과 서방국간 교역이 늘어났기 때문이다. 이런 이유로 혁명수비대 고위 간부와 혁명수비대가 거느린 미디어 기업은 핵협정에 대한 불편한 심기를 감추지 않았다.

이란 정부의 투자와 혁명수비대의 명성 등을 고려할 때 혁명수비대가 테러집단으로 지정된 것은 이란 정부에 심각한 문제다. 지난 40여년간 이란 정부는 혁명수비대의 역량 강화에 힘을 쏟았다.

미국과 이란 관계 개선을 옹호하는 세력은 혁명수비대를 테러집단을 지정한 미국의 조치가 관계 개선의 기회를 약화할 것으로 우려하고 있다. 또 트럼프의 이 결정은 이란 온건파의 입지 약화로 이어질 수 있다.

RUSDI(Royal United Services Defense Institute)의 연구원 아니세 바시리 타브리지 박사는 “전반적으로 (테러집단 지정이) 이란 국내외에서 혁명수비대의 입지를 약화하지 않을 것”이라며 외려 이란의 정치적 단결을 불러와 혁명수비대에 대한 지지 강화로 이어질 수 있다고 말했다.

온건파인 하산 로하이 이란 대통령은 미국의 조치에 반발하며 중동 지역의 미군을 테러집단을 지정하는 법을 승인했다.

이란은 트럼프 행정부 하의 미국과는 대화에 나서지 않겠다는 강경한 입장이다. 이란혁명수비대를 테러집단으로 지정한 트럼프 대통령의 결정은 역효과를 낳고 있다.

Leave a comment

Your email address will not be published. Required fields are marked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