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진: 아이스톡)

“북한은 재원이 필요한 집요하고 정교한 사이버 세력이다. 계속해서 암호화폐 취득과 개발 방법을 찾는 가운데 초기지만 급성장하고 있는 동남아시아 암호화폐 산업을 공략하기 위해 한층 더 애쓸 수 있다.”

영국의 싱크탱크인 RUSI는 최근 ‘격차 메우기: 동남아에서 북한의 암호화폐 활동 차단 지침’이란 제목의 보고서에서 이렇게 주장했다.

보고서는 미국 재무부 테러리즘 및 금융정보 위원 출신인 데이비드 칼리슬과 금융범죄와 테러리스트 금융 전문가인 케일라 아이젠먼이 공동 작성했다.

보고서는 “북한은 국제 사회로부터 광범위한 분야에서 제재를 받게 되자 자금 조달과 이동 및 금지된 재화와 용역 확보를 위해 다수의 기술자를 고용했다”면서 “동남아 지역에서 ‘지속적인 안보 위협’을 가할 것”이라고 밝혔다.

지난달 유엔 안전보장이사회 대북제재위원회가 발표한 또 다른 보고서에 따르면 북한은 사이버 범죄와 해킹을 통해서 6억7,000만 달러(7,610억 원)어치가 넘는 암호화폐와 해외통화를 모았다. 유엔 보고서는 “지난 4년 동안 특수부대가 외국 금융기관을 상대로 적극적으로 온라인 전쟁을 일으켜온 덕에 북한은 국제사회의 제재를 피해 자금을 확보할 수 있게 됐다”라고 덧붙였다.

이와 관련해 RUSI 보고서는 “북한은 이런 정교한 방법을 써서 대량살상무기(WMD) 제조에 필요한 자금을 ‘직접’ 마련하는 한편, 명품 등 (수입) 금지 품목 구매 등에 필요한 자금을 조달할 수 있었다”고 설명했다.

이어 보고서는 “동남아는 오랫동안 북한의 WMD 관련 자금조달과 제재 회피 활동에 취약했다”면서 “이곳에서 북한의 여러 네트워크가 자금조달 활동을 해왔고, 유령회사, 에이전트, 은행 내 부정 금융기술을 통해 무역과 금융 제재를 피해왔다”고 말했다.

그러면서 “동남아 내 다수 국가들이 자금세탁방지(AML)와 테러자금방지(CTF) 규제가 허술하다”면서 “암호화폐 기업과 사용자 수가 늘어나고 있는 상황에서 동남아 국가들은 북한의 암호화폐 관련 활동에 취약할 수 있다”고 경고했다.

보고서는 이러한 위험과 피해를 줄이기 위해선 국가 간 협력을 강화하고, 종합적이고 강화된 규제를 실행하는 등의 조치가 취해져야 한다고 덧붙였다.

Leave a com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