범죄인 인도 법안(이하 ‘송환법’)에 대한 시민들의 반대 목소리가 점점 더 커지자 일요일인 16일 저녁 캐리 람 홍콩 행정장관은 ‘공식 사과문’을 발표하면서 뒤늦은 진화에 나섰다. 이날 홍콩 시민 200만 명은 검은색 옷으로 차려입고 길거리로 나와 송환법의 완전 철폐와 람 장관의 사퇴를 요구했다. 하루 전인 토요일 람 장관이 기자회견을 열어 송환법 추진을 무기 연기하겠다는 ‘깜짝’ 발표를 하면서 “(송환법과 관련된) 모든 비판을 성실하고 겸허하게 수용하며, 국민을 위해 더 애쓰겠다”고 했지만, 일요일 대규모 시위를 막지는 못했다. 홍콩 시민들은 송환법의 보류나 연기가 아닌 완전 철폐를 주장하고 있다. 시위에 참여한 27세의 한 청년은 “토요일 람 장관의 (송환법 보류) 기자회견은 홍콩 시민들의 분노만 북돋웠을 뿐이다”라면서 “우리는 그가 사퇴하리라고 믿지 않으니 강제로 끌어 내려야 한다”라고 말했다. 대규모 송환법 반대 시위로 아시아의 금융허브인 홍콩은 심각한 정치적 혼란에 빠졌다. 이 같은 혼란은 1997년 홍콩의 중국 반환 이후 가장 심각한 수준이다. 16일 홍콩 중심지에 모여 송환법 철폐를 주장하고 있는 시민들 (사진: 나일 보위 기자) 12일 열린 첫 시위 때 최소 81명이 부상해 병원으로 후송되면서 경찰의 폭력 시위 진압을 성토하는 목소리가 커지자 이날 경찰은 강력한 시위 진압을 자제하는 듯한 모습을 보였다. 남편과 아이와 함께 시위에 참여했다는 한 여성은 “저들이 우리 경찰인지 의심스럽다”면서 경찰에 대한 비난의 목소리를 높였다. 홍콩 경찰이 최루탄을 쏘고 곤봉을 휘두르며 시위를 진압한 데 대한 불만을 토로한 것이다. 시위대는 이날 경찰을 비난하는 플래카드와 흰색 카네이션 꽃을 들고 행진하며 “사랑하고, 쏘지 말라”는 구호를 외쳤다. 한 남성이 16일 정부 청사 밖에서 시위를 벌이던 도중 경찰에 의해 부상한 시위자의 모습이 담긴 사진을 들고 있다. (사진: 나일 보위 기자) 전문가들은 이번 시위로 인해 중국 정부의 람 장관에 대한 신뢰가 흔들렸을 수 있다고 보고 있다. 홍콩중문대학교의 윌리 람 중국 정치 전문가는 “중국이 신뢰를 잃었다는 점에서 람 장관의 정치 생명도 얼마 남지 않았다”면서 “그가 내일 당장 자리에서 물러나지는 않더라도 오랫동안 갈망했던 재임은 완전히 물 건너갔다고 볼 수 있다”라고 말했다. 16일 주최 측 추산 약 200만 명의 시민들이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