트럼프 대통령이 김정은 국무위원장에게 계속 다가가고, 양국 관계 개선에 투자하면 북·미 회담이 탄력을 받을 수도 있다. 다만, 회담에서 북한의 비참한 인권 상황에 대한 논의가 빠져서는 안 될 것이다. 한 마디로 북한의 정치범과 그들 가족이 겪는 고통이 향후 북·미 대화에서 비중 있게 다뤄져야 한다.
일각에선 북한 인권 문제가 북한의 핵무기 프로그램과 그것이 한반도와 전 세계에 미치는 위협만큼 심각하지는 않다고 주장한다. 그러나 북·미 대화는 북한이 매일 자행하고 있는 전 세계에서 가장 끔찍한 인권 유린 문제를 해결할 수 있는 기회일 것이다.
북한에선 정치범들이 강제수용소에 갇혀 굶주리고, 고문당하고, 강간당하고, 강제 노동과 처형에 시달리고 있다. 북한은 종종 정치범들의 가족도 구속시키고, 그들에게 고문을 가한다.
다가오는 북·미 대화에선 이런 끔찍한 학대 행위를 줄일 수 있다. 미국은 다방면에 갖고 있는 힘을 이용해서 북한이 자국민과 억류 외국인들을 상대로 잔혹한 행위를 중단하라고 요구할 수 있다.
김 위원장이 제재 완화, 투자, 종전 선언, 미국의 공식적인 외교적 인정 등을 바라왔다는 건 오랫동안 알려진 사실이다. 트럼프 정부는 이런 분야에서 가진 영향력을 북한의 구체적인 비핵화 조치와 인권 개혁에 필요한 협상 카드로 쓸 수 있다.
미국 협상팀은 구체적 숫자를 제시하며 정치범과 그들 가족의 석방을 요구해야 한다. 또한 북한이 지난 수십 년 동안 납치했으나 아직 생존해 있는 모든 일본인 등 외국인의 석방을 요구할 필요가 있다. 한 발 더 나아가, 현재 진행 중인 북한의 강제수용소 확대 움직임을 즉각 중단하라고도 촉구해야 한다.
향후 대화가 북핵 위기의 평화적 해결에 대한 희망을 주긴 하겠지만, 트럼프 정부는 북한의 인권 개선 의무를 저버려서는 안 된다. 미국이 대화에서 상당한 영향력을 과시할 수 있는 한, 북한 정치범들을 그들이 장기간 겪었던 고통에서 벗어나게 해줘야 한다.